본문 바로가기

CS/Computer Network

[네트워크] Ch1.5 인터넷의 역사(Internet History)

 

본 글은 학교 네트워크 수업을 들으며, "Computer Networking: A Top-Down Approach 8ed(컴퓨터 네트워킹: 하향식 접근 제8판)"을 기반으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.

 

Ch1.5 인터넷의 역사(Internet History)

Circuit Switching(써킷 스위칭)

- 써킷(회선)을 연결해 통신하는 방식.

- 저렇게 통신에 필요한 써킷을 src부터 des까지 일일이 다 연결해준 다음에서야 통신이 가능함.

- 중간에 오류가 생기면 써킷을 처음부터 다시 다 연결해야함...

Packet Switching(패킷 스위칭)

- 라우터를 두고, 패킷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

- 중간에 오류가 생기더라도 그 패킷만 다시 다른 라우터로 보내면 됨.

(추후 챕터에서 나올 내용이지만, loss of packet과 out of order 문제가 있어서 reliable하지 못함.)


Internet History Timeline

여담. 참고용으로만 간단히 보고 가자.

- 처음에 ARPANET에서는 버추얼 써킷 스위칭 방식 쓸까 데이터그램 패킷 스위칭 방식을 쓸까 고민하다가

- 후자를 선택했는데, 이게 reliable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음.
- 그래서 71년에 TCP를 중간에 끼워서 reliable을 확보함.

- 이후 82년에 인터넷 개념이 정립되면서, TCP/IP 참조 모델이 표준이 됨.

- 90년에 WWW 등장. 


Why All-IP Based?

- 같은 layer에서, 나는 A protocol. 쓰는데 쟤는 B protocol쓰고 그러면 통신이 안되잖음.

- 그러니까, Network layer에서는 모두가 `IP`라는 프로토콜 하나만 쓰게 하고, 

- 데이터 전송을 패킷 단위로 하여 Network layer에서 이루어지게 하자!!

- 즉, 모두가 IP를 사용하면서,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됨.

위와 같이, 라우터 간에 패킷 포워딩이 일어나게 하면, 모두가 IP라는 공통된 프로토콜을 사용하니까 문제가 없음!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