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 글은 학교 네트워크 수업을 들으며, "Computer Networking: A Top-Down Approach 8ed(컴퓨터 네트워킹: 하향식 접근 제8판)"을 기반으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.
Ch3.1 P2P 구조(P2P Architecture)
https://cuffyluv.tistory.com/103
해당 글의 `Client-Server and Peer-to-Peer Models` 문단을 읽고 오자.
P2P Architecture
서버가 Centeralized된 경우 : Client-Server
만약 저 mmcn.mp4 파일을 client1과 2가 원한다면, 저 파일을 통째로 저 둘에게 전송해줘야함.
=> 병목 현상 발생!!
피어가 Distributed된 경우 - Peer-to-Peer
분산된 피어들이 파일의 일부만을 갖고 있어서, 만약 peer 2가 mmcn.mp4를 원한다고 하면, 근처의 다른 peer들이 piece 3과 5만 주면 됨.
- CS 모델의 경우 - 파일을 받으려는 클라이언트 수가 늘어날수록, 소요되는 시간은 `선형적으로 증가`함.
- 그러나 P2P 모델의 경우 - peer 수가 늘어나더라도 `self-scaling` 작용을 하여서, 소요되는 시간이 그렇게 큰 폭으로 증가하지는 않음.
즉, client(peer)의 수가 증가할수록 CS 모델에 비해 P2P 모델의 효율이 훨씬 좋아짐.
'CS > Computer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Ch3.3 Circular DHT (0) | 2025.01.14 |
---|---|
[네트워크] Ch3.2 DHT(Distributed Hash Table) (0) | 2025.01.14 |
[네트워크] Ch3 Application Layer - Peer-to-Peer Model (0) | 2025.01.14 |
[네트워크] Ch2.x 와이어샤크를 이용한 패킷 분석 실습 (0) | 2025.01.14 |
[네트워크] Ch2.6 HTTP의 발전 과정(HTTP Evolution) (0) | 2025.01.13 |